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39)
책을 샀습니다. 안녕하세요, 일이 너무 바빠서 오랜만에 글 남깁니다. 최근에 책을 한 권 샀습니다. 따배런 이성미 강사님의 유튜브에서 보고 저한테 지금 너무 필요한 책이라 생각되어 샀습니다. 사실 더 일찍 샀어야 했는데.. 너무 늦은거 같기도 하네요. 이성미 강사님 영상을 보면서 봤을땐 조금 소설책 정도 두께는 되어보였었는데 막상 뜯어보니 얇으면서 내용이 정말 초보인 제가 봐도 어렵지 않고 잘 풀어쓰신것 같습니다. 이 책을 노트에 정리하고 이해가 완벽히 되면 이 책에서 익힌 내용들을 글에 담아볼까 합니다. 전공은 컴퓨터랑 회계를 복수전공 했었는데 IT에도 약하고 회계도 못하고.. 지금은 일이 IT이니 IT쪽으로 지식을 많이 쌓아야하는데, 일 하면서 정말 지식이 너무 부족하다보니 점점 업무가 너무 긴장되고 스트레스로만 다..
CKA 취득했습니다.(후기)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다시 블로그 살려서.. 첫 글을 쓴다는게 결심은 한달쯤 전에 해놓고 이제야 씁니다. 전직장 그만둔지 2년이 지난 올해 2월초에 재취업을 했고, 회사에서 CKA 취득이 거의 필수여서 정말 하나도 모르는 영역에서 헤딩하고 헤딩하고 헤딩한 끝에 CKA 취득에 성공했습니다. 뭐 다른 분들의 후기도 많고해서 후기라고 해봐야 그냥 취득 인증뿐이지만.. 개인적으로 몇가지 좀 얘기를 해보자면, 솔직히 쉬운 시험은 아니었습니다..(저만..) 여기엔 또 저만의 고충(=변명)을 좀 얘기해보자면 취업 전에 국비지원 학원을 다녔었는데, 클라우드 기반 웹&앱 개발 과정? 이었나 이름도 참.. 처음 개설된 과정이기도 하고, 상담 받으면서도 커리큘럼에서 처럼 쿠버네티스, 도커, AWS와 백엔드 개발 쪽으로 가는..
6-3 메소드의 재귀호출 자바는 메소드의 재귀호출을 지원합니다. 이 내용이 어렵다면 눈으로 쭉 보고 넘긴 후에 나중에 다시 보셔도 됩니다. 메소드의 재귀는 자료구조나 알고리즘 등에서 많이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재귀는 고등학교 수학시간에 배우는 팩토리얼(factorial)의 개념과 같습니다. public class ReculFactorial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System.out.println("3 factorial : " + factorial(3)); System.out.println("12 factorial : " + factorial(12)); } public static int factorial(i..
6-2 변수의 스코프 스코프(scope)란 "범위", 또는 "영역"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서 영역은 변수의 접근, 변수가 존재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합니다. {}는 우리가 메소드의 몸체 부분을 정의할 때, if문/if~else문/switch문/반복문 등에서 사용되는 걸 이미 배웠습니다. 이렇게 중괄호로 영역이 형성이 되면 감싸지는 영역은 변수에 관한 별도의 스코프를 형성하게 됩니다. public class LocalVariab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boolean scope=true; if(scope) { int num=1; num++; System.out.println(num); } else {..
6-1 메소드에 대한 이해와 메소드의 정의 계속 예제를 작성할 때마다 main 이라는 이름을 가진 메소드를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번엔 이 메소드가 실행되는 원리를 이해함으로써 메소드의 기본성질을 파악해봅시다. 앞선 예제들로 우리는 메소드의 이름은 main이고 중괄호 안에서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실행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왜 메소드의 이름이 main이냐하면 자바 프로그램의 시작은 main이라는 이름의 메소드를 실행하는 데서부터 시작한다는 약속에 근거합니다. 메소드의 이름을 main이라 하지않고 지을수도 있습니다. public class MethodDefAdd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System.out.println("프로그램..
5-5 반복문의 중첩 반복문을 응용해서 중첩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가장 많이 활용되는 for문의 중첩을 해보겠습니다. public class DupFo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for(int i=0; i
5-4 continue & break "continue"와 "break"는 반복문 내에 삽입이 되어, 반복문의 실행 흐름을 조절하는데 사용됩니다. 먼저 break를 알아보겠습니다. break는 switch문을 빠져나갈때 사용된다고 먼저 설명을 드렸습니다. 마찬가지로 반복문을 빠져나가는 용도로도 사용되기도 합니다. 보통은 if문과 같이 사용이 되어서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면 반복문을 빠져나가도록 사용을 합니다. public class BreakBasic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int num=1;boolean search=false;while(num
5-3 for, while, do~while public class WhileBasic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int num = 0;while(num

반응형